#능동적순종 교리 이단인가? #정태홍목사 신간
#능동적순종 교리 이단인가? #정태홍목사 신간 33,000원
https://smartstore.naver.com/rptbook/products/7465829613
1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2. 지금까지 진행된 능동적순종 교리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런 논쟁의 시발점이 무엇인가?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능동적순종 교리를 알아가면 개혁신학의 탁월성을 알게 됩니다
목 차
머리말 8
Ⅰ. 서 론
1. 멘탈리티의 핵심 키워드 12
2. 잘못된 시작: 근본적인 두 가지 문제 12
3. 그리스도의 순종과 칭의 20
4. 칭의의 두 가지 유익 26
Ⅱ. 탄약고 서철원 교수
1. 논쟁의 재점화 30
2. 전기 저술 37
1) 『복음의 개요: 로마서 강해설교1』 38
2) 『신앙과 학문』 38
3) 『복음의 권세: 로마서 강해설교2』40
4) 『그리스도의 구속사역』 45
5) 『기독교 문화관』 49
6) 『하나님의 나라』 51
7) 『복음적 설교』 52
8) 『성령신학』 53
9) 『하나님의 구속 경륜』 54
10) 『신학서론』 61
11) 『기독론』 62
12) 『복음과 율법과의 관계』 64
13)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 계심』 70
14) 『창세기 1』 72
15) 『인간, 하나님의 형상』 73
16) 『교리사』 77
3. 후기저술
1) 『신학서론』 78
2) 『하나님론』 80
3) 『인간론』 82
4) 『그리스도론』 86
5) 『구원론』 90
6) 『교회론』 92
7) 『종말론』 93
8)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해설』 94
9) 『갈라디아서』 103
10) 『에베소서』 104
11) 『빌립보서』 104
Ⅲ. 정이철 목사 ‘능동적 순종은 없다’
1. 정이철 목사의 주장은 논리적 근거가 없다 108
2. 성경에는 율법준수의 전가가 없다? 112
3. 능동적 순종교리를 주장하면 이단인가? 115
Ⅳ. 능동적 순종과 수동적 순종
1. 왜 능동적 순종,
수동적 순종이라는 말을 사용했는가? 138
2. 능동적 순종과 수동적 순종은 무엇인가? 151
Ⅴ. 문제는 인간론이다
1. 인간은 영생의 상태로 창조되었는가? 170
2. 죄 없는 무흠의 상태 178
3. 잘못된 인간론이 문제다 182
4. 아담에게 주어진 규범 187
5. 완전한 제물이신 그리스도 190
6. 전체적이고 완전한 순종 196
7. 능동적 순종과 무흠하신 그리스도 201
8. 능동적 순종 결사반대 209
Ⅵ. 행위언약
1. 행위언약이란? 216
2. 왜 행위언약인가? 218
3. 왜 행위언약을 말해야 하는가? 220
4. 행위언약을 부정하는 이유 223
5. 창 3장의 역사성과 행위언약 224
6. 하나님의 형상과 행위언약 229
7. 도덕법과 행위언약 233
8. 언약사상의 시작 245
9. 일반적인 언약사상 이해 252
10. 17세기 언약신학자들과 행위언약 258
11. 서철원 교수와 행위언약 261
12. 정이철 목사의 “~까요?” 신학 268
13.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행위언약 270
14. 우르시누스와 행위언약 272
15. 퍼킨스와 행위언약 274
16. 카트라이트와 행위언약 283
17. 사보이 선언(Savoy Declaration)과 행위언약 283
18. 튜레틴과 행위언약 295
19. 메르디스 G. 클라인과 행위언약 297
20. 로버트 레이몬드와 행위언약 306
Ⅶ. 성경적 근거
1. 구약의 근거 310
1) 창 2:16-17 310
2) 레 18:5 315
3) 이사야 53장 317
4) 겔 18:17 319
5) 슥 3:4-5 320
2. 신약의 근거
1) 마 1:23 321
2) 마 3:15 322
3) 마 3:11; 막 1:7-8; 눅 3:16 325
4) 마 5:17 328
5) 마 13:35 329
6) 마 9:13, 12:7 331
7) 마 19:16-22 332
8) 마 13:35 335
9) 눅 10:25-37 335
10) 사도행전 337
11) 롬 3:31 340
12) 롬 5:12 341
13) 롬 5:18-19 344
14) 롬 5:21 355
15) 로마서 8:4 361
16) 롬 10:4-5 362
17) 롬 10:5 364
18) 고전 1:30 366
19) 고전 15장 367
20) 갈 2:19-20 369
21) 갈 3:10-14 370
22) 갈 3:13-14 373
23) 엡 2:8-9 374
24) 빌 2:5-11 375
25) 빌 3:9 378
26) 히 2:6-9 379
27) 히 4:15, 5:7-10 381
28) 히 10:9 382
Ⅷ. 교리사적 고찰
1. 죽고 사는 칭의론 388
2. 17세기 개혁신학과 세 가지 칭의론의 본질 390
3. 교부 신학자들 396
1) 이레니우스 396
2) 아타나시우스 397
3) 어거스틴 399
4. 중세 신학자들 401
1) 안셀무스 401
2) 클레르보의 버나드 401
3) 토마스 403
5. 종교개혁의 신학자들 404
1) 루터 405
2) 츠빙글리 410
3) 메니우스 413
4) 게오르크 카르크 415
5) 오시안더 416
6) 멜랑히톤 416
7) 칼빈 417
8) 테오도르 베자 424
6. 17세기 개혁주의 신학자 429
1) 피스카토르 429
2) 카스파르 올레비아누스 440
3) 다니엘 토사누스 443
4) 파레우스 445
5) 아만두스 폴라누스 453
6) 윌리엄 부카누스 456
7) 윌리엄 퍼킨스 457
8) 리차드 백스터 467
9) 요하네스 코케이우스 471
10) 프란시스 튜레틴 474
11) 존 오웬 480
12) 존 번연 489
13) 그 외의 청교도들 491
Ⅸ. 신앙고백서와 전가교리
1. 신앙고백서와 전가교리 498
2. 스위스 일치신조 499
3. 도르트 신경 502
4.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508
5.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538
Ⅹ. 결론 ……………… 554
#능동적순종, #수동적순종, #칭의교리, #정태홍목사, #개혁주의,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서, #사보이선언, #행위언약, #은혜언약